그래픽=강세이 편집기자
자료=금융감독원(그래픽=강세이 편집기자)

<대한데일리=이봄 기자> 국내 은행, 증권사가 판매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DLS, DLF)에서 4558억원에 달하는 손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감독원은 이달 중 판매사, 발행사, 운용사를 대상으로 합동검사에 착수하고 분쟁 조정과 관련한 민원 현장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19일 금감원이 발표한 ‘주요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에 대한 실태 조사 결과’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금리 연계 DLS·DLF 판매 잔액은 총 8224억원이다.

전체의 99.1%에 달하는 8150억원이 은행에서 펀드(사모 DLF)로 판매됐다. 우리은행이 4012억원어치를 팔았으며 하나은행 3876억원, 국민은행 262억원 순이다.

나머지 74억원은 증권사가 사모 DLS 형태로 판매했다. 유안타증권이 50억원을 취급했으며 미래에셋대우증권과 NH투자증권이 각각 13억원, 11억원을 판매했다.

DLS는 금리, 환율과 같은 기초자산 변동에 연계해 사전에 정해진 방법에 따라 만기 지급액이 결정되는 상품이며, DLF는 DLS를 편입한 펀드를 말한다. DLS와 DLF는 기초자산이 가입 당시 설정한 구간 안에 있으면 연 4~5%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반면 기초자산 가격이 설정 구간 아래로 떨어지면 원금 전부를 잃을 수 있다.

이번에 문제가 된 상품은 영국과 미국의 이자율스와프(CMS) 금리와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와 연동된 상품이다. 경기 불확실성 확대로 영국과 미국의 CMS 금리와 독일 국채 금리가 가파르게 하락하면서 관련 상품의 수익률도 곤두박질친 것이다.

미국·영국의 CMS 금리에 연계된 상품의 판매 잔액은 6958억원 수준이다. 지난 7일 기준 판매 잔액의 85.8%에 달하는 5983억원이 손실구간에 진입했다. 영·미 CMS 연계 상품의 만기는 올해 492억원, 내년 6141억원, 2022년 325억원이다.

만기까지 현재 금리 수준이 유지된다면 예상 손실 금액은 3354억원에 달한다. 평균 예상 손실률은 56.2%다. 만약 만기까지 두 기초자산 중 하나라도 0%에 도달하는 경우 투자자는 원금 전액을 잃게 된다.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 연계상품은 이미 해당 금리가 -0.7% 아래로 떨어지면서 더 심각한 상황이다. 이 상품은 해당 금리가 -0.3%보다 높으면 연 4%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반면 금리가 -0.3%보다 낮아지는 경우 손실배수(250배)에 비례해 원금을 잃게 된다.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 연계상품은 지난 7일 기준 판매금액 전체인 1266억원이 손실구간에 진입했다. 현재 금리가 오는 9~11월 돌아오는 만기까지 유지된다면 예상 손실 금액은 1204억원이다.

금감원은 상품 설계부터 제조, 판매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설 계획이다.

해외금리 연계 DLS와 DLF는 대부분 개인 투자자에게 판매됐다. 3654명의 개인투자자가보유전체의 89%에 달하는 7326억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DLS와 DLF의 경우 구조가 복잡해 투자자 입장에서 이해가 쉽지 않고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개인 투자자이 대부분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금감원은 불완전판매 소지가 있다고 보고 있다.

금감원은 이달 중 상품 판매사인 은행과 발생사인 증권사, 운용사 등을 대상으로 관련 검사국과 연계한 합동수사를 착수한다.

불완전판매 관련 분쟁조정도 추진한다.

지난 16일 기준 금감원에 접수된 분쟁조정 신청건은 총 29건이다. 금감원은 검사와 병행해 분쟁조정 관련 민원 현장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불완전판매가 확인될 경우 법률 검토, 판례 및 분조례 등을 참고해 신속한 분쟁조정도 진행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은 글로벌 경기하락 가능성, 미·중 무역분쟁, 홍콩 시위 등으로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며 “금리, 환율, 유가 등을 기초로 한 파생결합상품과 같은 고위험 금융상품의 발행 및 판매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