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자본시장연구원)
(자료:자본시장연구원)

<대한데일리=임성민 기자>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금융서비스 공급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고령자들의 금융소외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부와 관련 업계가 나서 적극적인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자본시장연구원 김보영 선임연구원은 최근 ‘모바일금융 확산과 고령층의 금융소외 문제’ 보고서를 발표하며 60대 이상 고령자들의 금융소외 문제 해결을 강조했다.

2018년 기준 일평균 모바일뱅킹 이용금액은 5조2000억원에 달한다. 모바일 뱅킹서비스는 2016년 이후 매년 25%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향후 이용 규모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이 편리성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과 다르게 일각에서는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60대 이상 고령층은 대부분이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2018년 기준 전체 모바일뱅킹, 모바일지급 서비스 이용경험 비중을 살펴보면 각각 57.9%, 44.9%를 기록했지만 60대 이상은 13.1%, 6.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의 모바일지급 서비스 이용 경험이 거의 없다는 설명이다.

고령층의 금융소외 문제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더욱 심화된다. 70대 이상 고령층은 모바일 금융서비스의 개념조차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모바일 금융서비스와 핀테크 발전이 소비자의 금융접근성을 높여준 반면 고령층의 금융소외 문제를 발생시켜 계층 간 격차를 벌인 셈이다.

이처럼 고령층의 금융소외 문제가 심화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외 사례를 들어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현재 국제기구를 비롯한 주요국가에서는 모바일금융을 포함한 핀테크 발전에 따른 고령층의 금융접근성 제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들을 내놓고 있다.

예를 들면 호주는 ‘Be Connected’, 아일랜드는 ‘Digital Skills for Citizen’과 같은 정책으로 고령층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정부 차원에서 제공하고 있다.

미국, 영국의 일부 금융사들은 고령층의 모바일뱅킹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자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한다.

세계 각국이 고령층의 금융소외현상 해결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정부도 고령자의 금융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말까지 금융교육의 종합방안 마련을 목표로 고령층의 디지털 환경 적응이 포함된 금융교육 강화를 위한 TF(태스크포스)를 운영하고 있다.

또 금융감독원과 6개 금융협회는 고령층의 디지털 금융소외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맞춤형 금융교육 교재 및 동영상을 개발하고 있는 중이다.

김 선임연구원은 “현재 대부분의 시중은행이 앱의 글자크기 확대, 단순한 화면 구성, 고령자 전용상담 창구를 운영하고 있지만 제한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향후 지급결제 수단이 변하면 현금 사용이 익숙한 고령층은 일상생활 장애를 피할 수 없기 때문에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마련과 같은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