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보험설계사를 시작했다는 지인들의 연락이 온다. 좋은 보험이 있다며 가입해 달라는데 정말인지 모르겠다. 받는 월급은 뻔한데, 관계 때문에 가입했다가 나중에 후회하면 어떡하나 하는 생각도 든다. 나의 '재무설계'에 도움이 되는 보험인지 알아보고 싶다. 그런데 시간이 없다. [편집자 주]

<대한데일리=임성민 기자> 최근 무해지 환급형 상품이 눈에 띄게 출시되고 있다. 종신, 암, 어린이, 통합, 건강보험 등 대부분의 상품에 적용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보험을 가입하려 한다면 반드시 마주하게 되는 가입 형태다.

무해지 환급형은 동일한 담보의 다른 상품과 비교해 보험료가 20~30% 가량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보험사와 설계사들도 이 같은 장점을 활용해 마케팅과 영업에 적극 이용하고 있다.

무해지 환급형의 보험료가 저렴한 이유는 보험료 납입기간을 채우기 전까지 중도해지 환급금이 없기 때문이다. 대부분 보험가입 시 20년의 납입기간을 설정하는데, 이 기간 동안 해지환급금이 없다는 뜻이다. 그래서 무(無)해지 환급형이라 불린다.

이와 비슷한 종류로는 저해지 환급형도 있다. 무해지 환급형이 중도해지 시 환급금이 없었다면 저해지 환급형은 환급금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는 상품의 형태다. 마찬가지로 일반 형태의 보험 보다 보험료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계약을 유지하는 중간에 해지할 경우 금전적 손실이 더 클 수밖에 없다.

무해지·저해지 환급형 계약을 중도해지 할 경우 막대한 손해가 뻔히 보인다. 하지만 납입기간을 다 채운다면 소비자에게는 이보다 좋은 상품이 없다. 납입기간을 다 채우는 순간 일반 형태의 상품보다 높은 수준의 해지환급금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보험을 가입함에 있어 해지환급금을 목적으로 가입하지 않지만 그간의 유지 보상을 받게 되는 셈이다.

보험사들이 무해지·저해지 환급형에 계약 유지기간 동안 보장하지 않던 해지환급금을 높게 책정하는 이유는 신계약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 계약유지율과 연관성이 있다.

우리나라는 국민 10명 중 9명이 보험에 가입했을 만큼 시장이 포화돼 있다. 이런 가운데 보험사들은 소비자들이 가입한 ‘제 값 못하는’ 보험의 보장을 저렴하게 키울 수 있다는 명목의 ‘보험 리모델링’ 영업 전략을 앞세우고 있다. 다양하고 폭 넓게 갖은 담보를 기존 가입한 상품 대비 20~30% 가량 저렴하게 새로 가입하라는 전략이다. 최근 내가 가진 보험을 점검 받고 저렴한 보험을 추천 받았다면 이 같은 무해지·저해지 환급형 상품일 것이다.

특히 보험사들이 무해지·저해지 환급형 상품에 더 높은 환급금을 제공할 수 있는 배경도 알아두면 유익하다.

우리나라 보험 계약유지율은 13회차가 80% 초반, 25회차가 60% 후반대다. 보험 계약을 청약하고 1년 이내 해지하는 소비자가 10명 중 2명이고, 2년 내 해지가 3~4명 사이 라는 의미다. 유지 기간이 길어질수록 보험을 해지하는 사람이 늘어난다는 뜻이다.

이런 수치를 무해지·저해지 환급형에 대조해보면 중도 해지 시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한 푼의 환급급도 돌려받지 못하거나 낸 돈의 극히 일부만 돌려받을 수 있어 금전적 손실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보험사들은 걷고 돌려주지 않아도 되는 돈으로 다른 만기 계약자에게 더 많은 보험금을 지급하는 재원을 마련하는 것이다.

날이 갈수록 가계와 보험사 살림살이가 팍팍해진다. 서로가 돈을 아끼려는 목적은 같다. 보험사는 유지율과 계약 해지를 이용해서, 소비자는 과다 지출되는 것 같은 보험료를 줄이기 위해 리모델링을 활용한다. 납입 완료 전과 후로 구분되는 보험사와 소비자읜 득실 여부가 공존하는 무해지·저해지 환급형을 가입하는데 있어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