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데일리=염희선 기자> 금융산업에 종사하는 직원들은 급격한 디지털금융 환경 변화를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금융산업위원회는 2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금융산업 발전 및 좋은 일자리 유지·창출을 위한 금융산업공동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 문항은 금융환경, 노동시간, 임금, 산별교섭 및 기타 노동조건을 중심으로 구성됐으며, 금융권 종사자 대상 온 라인 설문 외에 금융기관별 노동조합 간부 및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별도의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실태조사 결과 금융산업 종사자들은 금융산업이 직면한 가장 큰 이슈로 디지털금융 확대에 따른 금융산업 재편(47.2%)을 꼽았다. 이들은 디지털로 인한 충격을 크게 우려하고 있으며, 고용, 노동시간, 임금, 기타 노동조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금융회사 간 과도한 경쟁(26.0%),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금융산업 규제(19.6%)를 주요 이슈를 꼽았다. 노조 간부들도 응답순위에서 종사자 답변과 같은 반응을 보였다. 인사담당자들은 디지털 금융의 확대(68.2%)를 가장 큰 이슈로 봤지만 나머지 문항은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금융산업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업무의 전문화(38.9%)가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새로운 기술의 습득에 대한 응답은 근속연수, 근무지, 고용형태별로 순위가 다르게 나타났다.

교육 참여의사를 묻는 질문에는 모든 기술 습득기회에 적극 참여하겠다(50.8%)는 응답과, 나 스스로 찾아서라도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겠다(13.1%)라는 응답이 많아 전문교육과 훈련의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금융산업 종사자들의 총 주당 평균 노동시간은 48.8시간으로 지난해 금융산업노동조합 설문조사 결과인 52.4시간보다 3.6시간 줄어들었다. 주52시간 상한제 실시가 근무시간 단축에 일정하게 기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주52시간 상한제 실시 후 “노동시간에 변화 없다”는 응답(31.7%)보다 “약간 또는 많이 줄었다”는 응답(64.6%)이 높았다. 단축근무를 위한 제도(PC 오프제, 경영평가 반영, 기타 출퇴근제도 등)도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당 실 초과근무 시간 및 근무시간 단축을 위한 필요사항은 종사자 및 노조 간부, 인사담당자 간 견해차가 존재했다. 

금융권 종사자들은 노동시간이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가(혹은 이어질 것인가)에 관한 질문에 4165명(74.1%)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또한 청년고용문제 해결을 위해서 현재 재직자들이 어디까지 감수할 용의가 있는지에 관한 질문에는 초과근무폐지(72%), 주40시간 미만으로 기본근무시간 단축(52%), 임금 인상분 반납(32.3%), 임금체계 변화 감수(37.3%) 등의 응답이 있었다.

금융산업 내 종사자들의 임금은 고용형태별, 직급별, 성별, 기업별 성격 차이에 따른 격차가 컸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53.3%)이 “업무차이를 고려하면 이러한 임금격차는 당연하다”고 보고 있었다. 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수당을 통한 보상”(49.3%)이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답했다.

고용형태별 임금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별도직군정규직·비정규직의 근속연수를 고려해 근속년수 10년 미만인 경우로 한정해보면, 별도직군정규직·비정규직임금은 일반정규직임금 대비 약 70% 수준의 임금을 받았다.

금융산업 임금체계는 약 63%가 연공제라고 답했으며, 관리자급과 별도직군정규직·비정규직에서 상대적으로 연봉제나 직무급제 비율이 높았다.

위원회는 향후 조사결과를 토대로 대안 마련에 나설 계획이며 오는 11월 말로 종료 예정된 논의시한을 2020년 2월 18일까지 3개월 더 연장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공동실태조사는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33개 회원사 내 종사자 5622명을 대상으로 지난 8월 6일부터 8월 21일까지 총 16일간 진행됐다. 조사기관은 한국리서치이며 전체 결과보고서는 경제사회노동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