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데일리=임성민 기자> 2014년 이후 3개월 이상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장기실업자 수가 꾸준히 불어났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지난 28일 발표한 ‘실업자의 이질성 분석:구직 기간을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통계청의 경제활동 인구조사를 토대로 이처럼 분석했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2013년까지 30만명 안팎에 머물던 장기실업자 수는 작년 기준 50만명 수준까지 늘었다. 이는 2013~2015년 중 장기실업자가 많이 유입된 데다 실업자의 취직 확률이 추세적으로 낮아진 영향이다.

보고서를 보면 2006년 이후 장기실업자는 월평균 11만5000명, 단기실업자(구직기간 2개월 이하)는 월평균 24만5000명이 유입됐다.

이들의 취직 확률은 단기실업자의 경우 평균 53.0%인 반면, 장기실업자의 취업 확률은 33.4%에 머문 것으로 추정됐다. 장기실업자는 월평균 유입 규모가 단기실업자보다 작지만, 취직확률(1개월 이내에 실업에서 벗어날 확률)이 더 낮기 때문에 시차를 두고 그 숫자가 노동시장에 누증됐다는 설명이다.

한은은 “장기실업자가 되느냐, 아니냐는 성·연령·학력·산업과 큰 관련이 없고 일자리를 잃은 이유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자발적인 퇴사가 아니라 해고를 당한 사람이나 경력 단절자가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면서 장기 실업자가 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장기 실업자는 자동화나 고령화 같은 구조적인 요인 때문에 증가하고 있다”며 “정부가 돈을 풀어 수요를 진작하는 식으로는 장기 실업자 문제를 풀기가 어렵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