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데일리=염희선 기자> 은행권의 연체자 수가 1년 사이 29% 가까이 증가했다.

자유한국당 김선동 국회의원은 지난 9월 기준 100만원 이상 금액을 3개월 이상 연체하고 있는 금융채무 연체자가 은행에서만 5만946명에 달한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29% 증가한 수준이다. 여신‧저축‧상호금융 등 제1, 제2금융권 연체자수도 전년 대비 7.6%가 증가한 26만6059명으로 집계됐다.

100만원 이상 금액을 3개월 이상 연체가 발생하는 경우 금융회사는 한국신용정보원에 연체 정보를 등록한다. 건전성 관리를 위해 대손충당금을 쌓고 분기말에 부실채권을 매각하며 손실을 정리하고 있어, 해당연도 연체자는 신규로 발생하거나, 금융채무를 변제하고 또다시 연체자로 등록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금융채무 연체자는 2017년 21만1326명에서 지난해 24만7171명, 올해 26만6059명으로 최근 3년간 25.9%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신용등급이 높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은행권의 경우 연체자 규모가 지난해 3만9548명에서 올해 9월 기준 5만946명으로 28.8% 늘었다.

김선동 의원은 신용도가 높고, 월소득 수준이 일정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은행 고객 연체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산층도 경제불황 피해를 고스란히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중산층의 경우 소득 수준이 높아 정책자금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서민금융진흥원 정책자금 지원 대상의 경우 소득기준 3500만원 이하 또는 신용등급 6등급 이하이면서 연소득 4500만원 사람들만 이용 가능하다.

연체기록이 있을 경우 대부업 이용거래도 차단되기 때문에 중산층은 소득제한 기준이 있는 정책자금 이용도 못하게 되면서 제도권 내 금융거래가 모두 막히게 된다.

김선동 의원은 “신용등급이 높고, 소득이 일정한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제1금융권의 연체 증가는 경제불황 여파로 중산층 조차도 흔들리고 있다는 중요한 지표”라며 “금융채무 연체 상황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해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정책금융 지원체계의 사각지대가 없는지 철저히 점검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