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데일리=이봄 기자> 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전 본인의 신용등급을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 노력해봤을 것이다. 신용등급은 대출심사와 금리 결정에 활용되는 만큼, 한 등급만 상승해도 대출금리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내년부터는 신용등급이라는 단어가 사라질 전망이다. 내년에는 기존의 신용등급제가 ‘신용점수제’로 바뀌기 때문이다.

신용등급제가 신용점수제로 바뀌면서 달라지는 점은 무엇일까.

기존 신용등급제는 CB사가 나눈 1~10등급 총 10단계로 구분되며 각 등급에 따라 획일적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했다. 1~10등급 중심으로 운영되는 탓에 신용등급제는 리스크 평가가 세분화되지 못하고 등급 간 절벽효과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제기돼왔다. 예를 들어 신용등급 7등급 상위에 해당하는 대출자는 6등급 하위와 큰 격차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대출 심사에서 불이익을 받아 대출 실행에 탈락하거나 더 높은 금리를 적용받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신용점수제다.

신용점수제는 0점에서부터 1000점으로 세분화돼 있어 개인의 신용평가가 보다 정교해진다. 신용등급으로는 7등급에 해당해 제도권 금융사에서 대출이 불가능했던 금융소비자도 신용점수제로는 600~664에 해당해 6등급과 유사한 적용을 받아 대출이 가능성이 높아진다. 정부는 신용점수제 도입으로 약 240만명의 금융소비자가 연 1%포인트 수준의 금리 절감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신용점수제가 시행되면 CB사는 신용점수를 제공하고 금융회사는 이를 토대로 리스크 전략을 감안해 자체적인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하고 대출심사 및 금리 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등급’이라는 기준이 사라지다 보니 카드사, 저축은행과 같은 2금융권 이하의 금융회사에서 대출을 받았다는 사실만으로 무조건 신용점수가 떨어지지 않는다. 신용점수제는 대출을 어디서 받았는지 보다 몇%의 금리를 적용받았는지를 중점으로 평가한다.

이 같은 신용점수제는 올해 1월부터 자체 신용위험평가 역량이 높은 시중은행 5곳(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에서 시범 적용되고 있다. 내년부터는 보험, 금융투자, 여신전문금융사와 같은 전 금융권으로 확대 적용된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