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한국은행)
(자료:한국은행)

<대한데일리=임성민 기자> 국내외 경제전문가들이 국내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는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미·중 무역분쟁과 지속되는 경기둔화를 꼽았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19년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의하면 금융전문가 92명 중 미·중 무역분쟁을 리스크 요인으로 꼽은 비율이 74%로 가장 높았다. ‘국내 경기둔화 지속’이 위험 요인이라고 생각한 전문가가 52%로 절반을 조금 넘었다. 이 외에는 글로벌 경기둔화(40%), 가계부채 문제(40%), 중국 금융·경제 불안(39%) 등이 리스크 요인으로 언급됐다.

미중 분쟁, 국내 경기 둔화, 글로벌 경기 둔화는 단기(1년 이내) 위험 요인으로 꼽혔으나, 가계부채 문제와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중기(1~3년) 위험 요인으로 여기는 전문가들이 많았다.

지난 5월 서베이 결과와 비교하면 미중 무역분쟁을 선택한 답변 비중이 67%에서 74%로 확대됐고, 국내 경기둔화 지속을 선택한 비중은 66%에서 52%로 줄었다.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부진,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은 상위 5개 답변 항목에선 제외됐으나 각각 37%의 전문가가 여전히 위험 요인으로 지목했다.

1년 이내(단기) 금융시스템 안정을 위협하는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비율은 13%로 6개월 전(4%)보다 높아졌다. 하지만 리스크 발생 가능성이 낮다고 응답한 비율도 52%에서 53%로 소폭 높아졌다.

또한 1~3년(중기) 안에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비율은 34%에서 26%로 하락한 가운데, 낮다고 답한 비율은 24%에서 28%로 상승했다.

금융리스크 발생 가능성을 높지 않게 보는 배경은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진 것과 연관이 있다. 우리나라의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조사 결과, 높다고 답한 전문가가 55%로 5월 조사(50%)보다 상승했고, 낮다고 답한 비율은 6%에서 4%로 낮아졌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1~29일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과 교수·연구원, 해외 금융기관 한국 투자 담당자 등 경제·금융 전문가 총 83명을 상대로 이메일(일부 면담 조사 포함)을 주고받는 형태로 이뤄졌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