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한국은행)
(자료:한국은행)

<대한데일리=임성민 기자> 우리나라 국민 1인당 명목 국민총소득(GNI)이 한국전쟁 이후 500배 남짓한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은 국민소득 통계의 기준 시점을 2010년에서 2015년으로 개편하는 작업을 마무리하고 새로 편제된 통계자료를 한은 경제통계시스템 홈페이지에서 제공한다고 19일 밝혔다.

새로 바뀐 시계열 자료는 이전 자료 대비 소득지표가 대체로 상향됐다. 다만 이전 자료와 차이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일례로 1953년 1인당 GNI는 76달러로 신·구 시계열 수치에 차이가 없었다. 반면 작년에는 1인당 GNI가 3만1349달러에서 3만3434달러로 상향 조정됐다.

이에 따라 새 통계에서 지난해 한국의 1인당 GNI(달러화 기준)는 1953년 대비 503배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옛 기준으로는 468배다.

명목 국내총생산(GDP·한화 기준)의 경우 1953년 477억원에서 지난해 1893조원으로 무려 3만9665배로 증가했다.

1954~2018년 중 연평균 경제성장률(실질GDP 성장률)은 7.2%다. 교역조건 변화를 반영한 실질GDI(실질GDP+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 증가율은 7.0%로 실질 GDP 성장률을 0.2%포인트 하회했다.

실질GDP 성장률은 1950년대 5.9% 이후 1970년대에 10.5%까지 높아졌다가 이후 점차 낮아져 2010년대에는 3.4%를 기록했다.

1인당 GNI 증가율은 연평균 10.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쟁 이후 평균 7년마다 1인당 소득이 2배로 늘었다는 의미다.

10년 단위로 보면 1950년대 3.6%에 머물렀던 연평균 1인당 GNI 증가율은 1960년대 10.4%, 1970년대엔 22.8%, 1980년대엔 12.9%를 나타내 30년간 연평균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1990년대 들어서는 증가율이 6.2%, 2000년대에는 6.1%로 줄었다. 2010~2018년엔 증가율이 6.4%로 소폭 상승했다.

한은은 2010년대 들어 달러화 기준 1인당 GNI 증가율이 높아진 원인이 실질소득 증가율과 물상승률 하락을 원화가치 상승이 상쇄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총저축률은 1988년(41.3%)까지 빠르게 상승하다가 이후 낮아져 2018년에는 35.8%를 기록했다. 1975~2018년 중 경제주체별 총저축률을 살펴보면 기업(7.9%→20.6%) 부문은 꾸준히 상승했으며, 가계(8.2%→7.2%) 부문은 등락을 나타내다 2000년대 초반 큰 폭으로 하락한 이후 대체로 완만한 오름세를 보였다.

국내총투자율은 1991년 정점(41.2%)을 찍은 이후 기업들의 설비투자 증가세 둔화 등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가계순저축률은 1988(23.9%) 이후 하락세를 지속해 2002년 0.1%까지 낮아졌다가 완만한 상승세로 돌아서 2018년에는 6.9%를 기록했다.

국민소득 통계는 한 나라의 경제력이나 국민 생활수준을 나타내는 핵심 경제지표로, 달라진 경제 현실을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 5년마다 통계편제 기준을 바꾸는 작업을 한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