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구경제의 양호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자산관리 지수는 낙제점을 받았다. (사진=이미지투데이)

<대한데일리=이봄 기자> 2013년 이후 우리나라 가구경제는 연평균 5%의 양호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자산관리 지수는 55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구자산의 대부분이 실물자산에 쏠려있고 이마저도 안전성 중심으로 운용되고 있어 50대 은퇴 이후 유동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김진웅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부소장은 “국내 가구 자산의 대부분은 실물자산에 쏠려있으며 얼마 안 되는 금융자산도 안전성을 중심으로 운용되고 있다”며 “부채의 증가속도 또한 빨라 가구 재무건전성이 약화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어 일정 수준까지 금융자산 비중을 늘리고, 금융투자를 통해 적정수익을 추구하려는 자산관리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국내 가구의 낮은 자산관리 지수…왜?

‘이웃집 백만장자’의 저자 토마스 J. 스탠리 교수는 자산관리를 잘 하고 있는 지를 판단하는 부자지수 공식을 공개했다.

부자지수는 순자산(총자산-부채)의 10배를 ‘현재나이x연간소득’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한 값이다. 부자지수가 50% 이하면 ‘문제있음’이며 50~100%면 ‘노력 필요’, 100~150%는 ‘잘하는 편’, 150% 이상이면 아주 잘함으로 판정된다.

부자지수에 국내 가구경제의 자산관리 지수를 대입해보면 81.8%를 기록해 ‘노력이 필요한 수준’에 해당한다.

국내 가구경제의 자산관리 지수가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부동산 자산 쏠림 현상, 지나친 안전성향, 가파른 부채 증가를 이유로 꼽는다.

국내 가구자산은 부동산과 같은 실물 중심으로 늘어나는 모습을 보인다.

지난해 가구평균 총자산은 4억1573만원으로 전년 대비 2903만원 증가했다. 총자산의 증가는 금융자산(456만원)보다 실물자산(2455만원) 중심으로 이뤄졌으며, 금융부채 증가율(8%)은 금융자산 증가율(4.5%)보다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평균 가구자산 구성에서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중도 75%에 달한다. 이는 부동산 등 실물자산 가치의 상승과 금융부채 증가가 가구자산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국내 가구들은 금융자산을 안전성 위주로 운영하려는 성향이 강하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금융자산 투자 시 대부분이 우선 고려사항으로 ‘안전성(74.5%)’ 택했다.

선호하는 운용방법 또한 ‘예금’(91.9%), ‘주식’(4.7%), ‘개인연금’(1.8%) 순으로, 안전성을 택해 자산증대 기회를 가지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진웅 부소장은 “담보대출 등의 증가에 라 가계부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재무건전선 약화로 연결된다”며 “또한 연령대에 따라 자산이 늘어감에도 부동산 등 실물 자산 비중이 안정되지 않고 오히려 가중되는 현상은 자산구성 측면에서 문제점으로 보여 진다”고 말했다.

연금·금융투자 활용도 높여야

(자료=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자료=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자산관리 지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연금과 금융투자를 활용해 수익성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부동산 자산증대를 지양하고 은퇴시점까지 금융자산 비중을 총자산의 50%를 목표로 목표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 부동산 등 실물자산을 총자산의 50%로 유지하고 연금외 금융자산을 20%, 금융자산을 30%로 유지하며 꾸준히 연금자산을 관리하는 것도 필수다.

금융자산 구성 부문에서는 주식, 펀드와 같은 금융투자상품을 활용해 수익성을 높여야 한다. 금융 투자자산 중 예‧적금, 보험 등 안전성 상품에 50%의 비중을 두면서 국내투자자산와 해외투자자산에 각각 20%, 30% 분산 투자해 적정 수익을 추구해야하는 것이다.

자산관리에 대한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주어진 조건보다 자산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은 미래 재무상황을 다르게 만들어 줄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이다.

직장인 대상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자산관리는 일정규모 이상 소득을 올리거나 여윳돈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소득, 연령, 학력 등 조건이 유사해도 자산관리 실시여부에 따라 재무상황이 확연히 다르게 나타난다.

실제로 자산관리를 하는 경우 평균 순자산(2억3000만원)만 해도 하지 않는 경우(1억5000만원)와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가계금융‧복지조사 통계를 통해서도 자산관리 효과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소득분위별 부자지수를 산출해봤을 때, 지수는 73~88.2%로 소득분위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자산분위별 부자지수를 산출하면 분위에 따른 지수 차이는 14.1~159.5%까지 확연하게 드러난다. 소득보다 자산관리 노력이 자산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김진웅 부소장은 “금융자산의 규모가 크지 않은데 안전성 금융자산만 운용해 자산 증대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맹목적인 부동산 자산증대를 지양하고 은퇴시점까지 총자산‧금융자산 포트폴리오를 적절히 구성해 다양한 수익기회를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