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강세이 편집기자)
(그래픽:강세이 편집기자)

<대한데일리=임성민 기자> 이르면 1분기 내에 구 실손 보험료는 오르고 신 실손 보험료는 내린다. 보험사뿐 아니라 금융당국도 신 실손보험으로 갈아 태우는 것을 허용하고 있어 소비자의 신중한 선택이 요구된다.

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2017년 4월 이전에 가입한 구 실손보험료는 평균 9% 인상, 4월 이후 가입한 신 실손보험은 평균 9%의 보험료가 인하될 예정이다.

구 실손보험의 보험료 인상은 높은 손해율 탓이다. 2017년 4월 이전의 실손보험은 크게 2009년 10월 표준화 이전과 이후 상품으로 나뉜다.

표준화 이전의 실손보험은 자기부담금이 없어 소비자의 보험금 청구액이 보험사의 손실로 고스란히 누적됐다. 현재 손보사의 130%대에 달하는 높은 손해율은 표준화 이전의 실손보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 표준화 이후의 상품도 자기부담금이 10~20%까지 설계됐지만 여전히 손해율이 높아 적자를 면치 못하는 구조다.

보험업계는 실손보험료 인상률이 최소 15%는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한 자리수 인상을 권고하면서 구 실손보험의 보험료는 평균 9% 인상 조정됐다. 반대로 2017년 4월부터 판매된 신 실손보험은 구 실손보험의 인상률 만큼 보험료가 할인된다. 한화·흥국·MG손보는 구 실손보험의 손해율이 너무 높은 관계로 금융당국이 두 자릿수 인상을 허용했다.

보험업계는 구 실손보험을 상대적으로 손해율이 낮아 보험료가 저렴한 신 실손보험으로 갈아 태우기 위해 이달부터 마케팅을 시작했다.

DB손보는 기존 실손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간소화 절차를 통해 착한 의료비로 전환할 수 있는 계약전환용 실손보험 판매를 강조한다. 설계사 교육용 영업자료를 보면 표준화 이후 실손보험료는 상향된다는 내용을 예시로 영업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메리츠화재도 이달부터 구 실손보험의 보험료는 9.9% 인상되는 반면 신 실손보험료는 9.9% 인하된다는 점을 강조해 실손보험 갈아 태우기를 유도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기존 실손보험료를 올리는 대신 신 실손보험료를 인하해 사실상 갈아타기를 유도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말 금융위원회가 의료이용량에 따른 보험료 할인·할증제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실손보험 손해율 안정을 위한 간접적 지원에 나섰다.

보험사들의 신 실손보험 갈아 태우기 마케팅이 본격화되면서 소비자들은 갈아탈지 여부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각 상품의 특성상 장·단점이 명확하기 때문이다.

우선 구 실손보험은 보험료 인상폭이 큰 대신 자기부담금이 없거나 신 실손보험보다 적다. 구 실손보험 중 표준화 이전 상품은 자기부담금이 없으며, 표준화 이후 상품은 자기부담금을 10~20% 부담해야 한다.

만기 및 갱신주기도 차이가 있다. 표준화 이전 상품은 80세 혹은 100세 만기에 3년 또는 년을 갱신주기로 한다. 표준화 이후 상품은 100세 만기 3년 갱신주기이며, 2013년 4월 이후 상품부터는 15년 재가입, 1년을 갱신주기로 가입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신 신손보험은 도수치료, 비급여 주사제, 비급여 MRI 등을 특약형으로 분리했다는 특징이 있다. 손해율이 높은 담보를 분리한 것으로, 보장 니즈가 없는 소비자는 기본 입원·통원에 대한 일반형만 가입하는 것도 보험료가 저렴해 유리하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기존 실손보험을 해지하고 신 실손보험을 가입하면 보험사와 설계사 입장에서는 이익이 된다”며 “비급여 항목에 대한 니즈가 없는 소비자라면 보험료 인상폭이 큰 구 실손보험을 유지하는 것 보다 신 실손보험으로 갈아타는 게 유리하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신 실손보험을 갈아탄 이후에는 다시 구 실손보험으로 전환할 수 없으니 전환을 고려한다면 신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