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지난 17일 금융 규제 샌드박스(유예)를 적용할 ‘혁신금융 서비스’ 9건을 지정했다. 신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기존 규제에 발목 잡히지 않도록 4년간 규제 적용을 유예하거나 면제해주겠다는 것이다. 대한데일리에서는 이들 혁신금융서비스의 세부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봤다. [편집자주]

<대한데일리=염희선 기자> 국민은행은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알뜰폰)로 선정됐다. 금융과 통신을 융합해 혁신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게 목적이다. 

국민은행은 SKT, KT, LGU+로부터 통신망을 빌려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고객은 유심칩만 넣으면 공인인증서, 앱 설치 등 복잡한 절차없이 은행과 통신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비교적 저렴한 알뜰폰 요금제를 사용하는 청년, 서민이 모바일뱅킹을 쉽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은행은 알뜰폰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도 준비했다. 알뜰폰은 이동통신사와 통화 품질이 같지만 상담과 개통을 위한 오프라인 매장과 고객센터가 적다. 멤버십 혜택도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온·오프라인 영업망과 고객상담센터, KB스타 클럽과 연계한 서비스 차별화를 시도한다. 계열사 상품거래 실적과 연계해 고객의 통신요금 절감도 유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자녀 대상 금융상품과 연계한 키즈폰, 환전과 연계한 로밍요금 할인, 나라사랑카드 연계 군인 전용 요금제, 법인카드 실적과 연계한 법인폰 활성화 등 통신과 융합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취약계층 통신요금 감면, 공공와이파이 확대 등 사회공헌활동책도 제시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초기에 예상되는 과당 경쟁 안전판을 마련했다. 국민은행이 금융상품을 판매할 때 스마트폰 판매, 요금제 가입을 유도하는 구속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했으며, 통신사업을 진행하면서 영업점이나 은행직원 간 과당 실적 경쟁을 벌이지 못하도록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업자가 통신업에 진출한 첫 사례로, 국민 실행활에 필수인 산업 간 융합"이라며 "사업자 등록, IT인프라 구축을 거쳐 올해 9월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국민은행이 알뜰폰 시장에서 수익을 거둘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일단 알뜰폰 시장은 성장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부 무선통신서비스 통신서비스 통계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 2월 기준 알뜰폰 가입자 수는 800만9166명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약 5.40%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알뜰폰 내 LTE 가입자도 314만2298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0만명 가까이 증가했다. 수치상으로는 시장 전망에 큰 문제가 없다고 해석이 가능하다. 

다만 알뜰폰 시장이 통계만큼 전망이 밝은지는 의문부호 붙는다. 통신망을 빌려쓰는 알뜰폰 사업자들은 이통3사와 가격경쟁에서 밀려 고객을 뺏기고 있으며, 지속해서 손실을 보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이통 3사의 저가 요금제 출시로 알뜰폰 요금의 경쟁력이 떨어지게 되고, 알뜰폰에서 이통 3사로 번호 이동하는 규모가 커졌다"며 "지난해 1~10월까지 알뜰폰에서 이통3사로 넘어간 번호이동만 7만5469명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대형 알뜰폰 사업자들이 가입자를 늘리면서도 꾸준이 영업손실을 보고 있으며 누적 적자 규모도 확대되는 경우가 많다"며 "국민은행이 알뜰폰 시장에 진입하면 자칫 시장의 파이만 나눠먹는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