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대한데일리=임성민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하면서 지난해 대비 58% 수준까지 감소했던 국내 인구 이동량이 황금연휴 당시 83%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 사태로 이동량은 75% 수준으로 떨어졌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코로나19 발생 전후 인구 이동’ 분석 결과를 보면 2월 29일 전 국민 이동량은 2503만건으로 1년 전 같은 기간(4307만건)의 58.1% 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동량 감소는 분석기간(2월 8일~5월 9일)중 가장 큰 폭이다.

이번 조사는 통계청과 SK텔레콤이 모바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집계됐다. SK텔레콤 가입자(2200만명)의 이동 정보와 통계청의 인구 통계가 이용됐으며, 자신이 살지 않는 동네를 방문해 30분 이상 머물 경우 이동건수로 집계됐다.

지난 2월 15일 이동량은 3730만건으로 작년(3874만건)의 96.3% 수준이었지만 2월 말(금요일)을 기점으로 이동량이 급격히 줄어든 것이다.

국내 이동량은 3월 1일(토요일) 이후 점차 회복세를 나타냈고, 황금연유인 지난 2일에는 4163만건으로 작년 (5024만건)의 82.9% 수준까지 회복했다.

하지만 지난 9일에는 3340만건으로 전년(4454만건)의 75.0% 수준까지 다시 하락했다. 지난 7일 서울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 집단감염이 알려지면서부터다.

코로나 발생 전(1월 9일~22일)과 이동량을 비교한 결과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2월 20~29일 이동량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가 3월 초 증가했으며, 황금연휴(4월 30일~5월 3일)에 큰 폭으로 이동량이 늘었다.

주말과 주중 이동량을 비교하면 코로나19의 영향은 주말에 더 크게 나타났다. 황금연휴였던 4월 27일부터 5월 3일에는 유일하게 발생 전보다 이동량이 2.4% 증가했다.

이는 주말의 이동 여부를 주중과 다르게 개인이 선택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가 확산될 당시 재택근무를 하지 않았다면 주중에는 의사와 다르게 출근해야 하지만, 주말에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어서다.

성별로 보면 남성보다는 여성의 이동량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세 미만, 60대 이상에 감소가 컸다. 출근 여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람 간 접촉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업지역, 관광지, 레저스포츠시설이 대형 아울렛, 주거지역보다 이동량 감소가 컸다. 다만 13주차(4월 27~5월 3일)에는 4일간 연휴(4월 30일~5월 3일) 영향으로 관광지, 레저스포츠시설 인구 이동량(22.6%)이 크게 증가했다.

시도별로 보면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주·강원·부산 등 관광지역, 대규모 확진자가 발생한 대구를 중심으로 인구 유입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다만 13주차에는 4일간 연휴로 전남, 전북, 충남, 강원 등 대도시가 아닌 지역으로 인구 유입이 크게 증가했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