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보험연구원)
(자료:보험연구원)

<대한데일리=임성민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세대 간 디지털 정보화 격차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 현상을 줄이기 위해 관련 금융정책이 강화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보험연구원 최장훈 연구위원은 최근 이러한 내용을 담은 ‘고령화리뷰:코로나19 이후 고령 금융소비자의 디지털 소외 확대와 대응 방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코로나19 사태는 소비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며, 온라인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소비 활동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리서치 조사에 의하면 코로나19 이후 실시간 원격영상 시청, 배달 앱 음식 주문, 온라인쇼핑이 늘었다는 응답이 각각 64%, 58%, 51%로 줄었다는 응답(각각 4%, 5%, 3%)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세대 간 디지털정보 격차 현상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최 연구위원은 “2019년 기준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일반 국민을 100%로 가정할 경우 20대와 30대가 120% 이상인 반면 50대 이상의 경우 평균 64.3%로 20대와 30대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며 “코로나19로 사람 간의 접촉이 필요 없는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세대 간 디지털정보 격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최 연구위원은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 현상이 고령층의 금융상품 및 서비스 구매와 같은 소비 활동 시 불완전 또는 사기적인 판매로 인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로 오프라인 구매를 하는 고령층은 온라인·모바일 금융상품에서만 제공하는 수수료 면제 또는 우대 금리 등을 받지 못할 수 있다”며 “금융회사는 고령층을 위한 다양한 디지털 상품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해 고령층은 구입 의사가 있어도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찾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이후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현상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고령 금융소비자를 위한 특화된 교육 제공과 금융회사의 지침 변경 등 관련 금융정책의 강화가 요구된다.

해외에서는 고령자 보호를 위한 정부조직이 존재한다. 또 고령자를 위한 다양한 금융교육이 진행되고 있으며, 소비자 보호를 위한 금융회사의 구체적인 지침 등이 마련돼 있다.

예컨대 미국은 고령층을 위한 금융보호실을 설치해 교육 설계 및 자문에 대한 지침, 자문인 자격증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금융보호실은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 필요한 디지털 기기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고, 고령층을 위한 자문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일본은 비금융 부문의 참여와 협력을 강화했고, 영국은 취약 금융소비자에 대한 회사 측의 공정한 대우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기도 했다.

최 연구위원은 “미국과 같이 전담조직의 설립을 고려하고,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특화된 교육을 통해 고령층의 지식수준을 디지털화 시대에 맞도록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며 “취약고객에 대한 감성적 대응과 직원에 대한 보상, 그리고 정기적인 모니터링 같은 내용이 금융소비자보호 모범규준에 포함되는 등의 구체적인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