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데일리=염희선 기자> 서울 지역에서 매매가 6억원 이하 아파트가 사라지고 있다. 반면 9억원을 넘는 아파트는 3년사이 2배 이상 폭증했다. 

21일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이 한국감정원의 ‘2017.5~2020.6월간 서울아파트 매매 시세현황’을 분석한 결과, 서울 내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이 2017년 5월 67.3%였지만 3년이 지난 2020년 6월 기준 29.4%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세 9억 초과 아파트의 경우 15.7%에서 39.8%로 비율이 2.5배 가량 늘어났다. 아울러 15억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 비중 또한 3.9%에서 15.2%로 확대됐다. 문 정부 3년여간 실수요자가 접근 가능했던 아파트는 대폭 줄어들고, 기존 주택 또한 일반 서민은 거의 바라볼 수 없을 만큼 가격이 오른 것이다.

자치구 중 6억원 이하 비율이 가장 크게 줄어든 곳은 강동구였다. 2017년 5월 기준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가 74.9%에 달했지만, 2020년 6월 현재 8.9%로 급락했다(△66.0%). 그 사이 9억 초과 아파트는 0.4%에서 49.0%로 폭증했다. 3년전 강동구 내 10집 중 7집이 6억원 아래였지만, 지금은 절반이 9억원대를 형성한 것이다.

‘6억 소멸’ 현상은 서울에서 그나마 실수요자의 접근이 용이했던 강북에서 심화됐다. 성북구의 경우 97.0%에서 33.6%로 대폭 줄었고(9억원 초과 0%⇒11.3%), 동대문구는 88.9%에서 26.0%로 축소됐다(9억원 초과 0%⇒20.9%). 서대문구도 88.6%에서 26.5%로 쪼그라들었다(9억원 초과 0.3%⇒26.0%). 

‘마용성’과 같은 인기지역도 비슷했다. 마포구의 경우 6억원 이하 아파트가 2017년 5월 당시 54.3%였으나, 2020년 6월에는 6.1%에 그쳤다. 9억원 초과는 7.1%에서 61.3%로 늘어났다. 성동구 또한 60.6%에서 2.4%(9억원 초과 5.0%⇒65.6%)로 줄었다. 한강변의 광진구도 53.9%에서 3.5%(9억원 초과 12.0%⇒68.3%), 동작구도 59.7%에서 4.5%(9억 초과 2.0%⇒52.1%)로 떨어졌다. 

6억원 이하 아파트가 드물었고, 고가 주택이 많았던 강남지역은 15억원 초고가 아파트가 크게 늘어났다. 강남구는 15억 초과 아파트가 26.8%였으나, 2020년 현재 73.5%에 달했고, 서초구도 22.4%에서 67.2%로 확대됐다. 송파구 또한 5.3%에서 43.1%로 늘어났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