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대한데일리=임성민 기자> 우리나라 65세 고령 인구 비중이 2025년 2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2060년에는 전체 인구의 44% 가량이 65세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지난 28일 발표한‘2020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65세 이상 인구는 812만5000명으로 전체(5178만1000명)의 15.7%를 차지했다.

고령인구는 계속 늘어나 5년 후에는 1051만1000명으로 전체의 20.3%에 이르면서,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인구 비중은 매년 증가해 2036년 30%를 넘어서고, 2060년에는 절반에 가까운 43.9%가 노인 인구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고령자 인구 비중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우리나라는 2000년 7.2%로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이후 18년 만인 2018년(14.3%) 고령사회에 들어섰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년부양비는 올해 21.7명을 기록한 뒤 2036년 50명, 2060명 91.4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성별로는 여성(17.9%)이 남성(13.5%)보다 고령인구 비중이 4.4%포인트 높았다.

지역별로는 올해 전남의 고령인구 비중이 23.1%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경북(20.7%), 전북(20.6%), 강원(20.0%)이 뒤를 이었다. 세종시는 고령인구 비중이 9.3%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66세 이상 은퇴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은 2017년 기준 44.0%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미국(23.1%), 스위스(16.5%), 영국(15.3%), 캐나다(12.2%) 노르웨이(4.3%), 프랑스(3.5%)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반면 노령 인구의 노후 준비는 미흡한 실정이다.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 중 48.6%만이 본인의 노후 준비를 하고 있거나, 준비가 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2009년 39.0%에서 조금씩 올라가고 있지만, 여전히 고령 인구 2명 중 1명은 노후 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이다.

노후준비 방법은 국민연금(31.1%)가 가장 많았고, 예금·적금·저축성보험(27.9%), 부동산 운용(14.6%), 기타 공적연금(13.0%) 사적연금(8.1%), 퇴직급여(4.7%)가 뒤를 이었다.

지난해 기준 60세 이상 고령자 가구 순자산액은 3억6804만원으로 전년 대비 446만원 증가했다. 자산 중 부동산(77.2%)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