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데일리=임성민 기자> 내년도 실손보험료가 최대 20% 가량 인상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위험손해율이 130%를 돌파하면서 보험사의 적자 규모가 커져서다.

1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 현대해상, DB손보, 한화손보는 지난주부터 내년 1월에 실손보험이 갱신되는 고객을 대상으로 보험료 인상 예고문 고지를 시작했다. KB손보와 메리츠화재도 이번 주부터 안내문을 발송할 예정이다.

예고문을 받은 고객들은 2009년 10월부터 팔리기 시작한 ‘표준화 실손보험’과 2017년 3월 판매된 ‘신 실손보험’ 가입자들이다. 2009년 10월 이전에 가입한 구 실손보험 갱신 시기는 내년 4월인 관계로 예고문 발송자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안내문에는 예상되는 보험료 인상률과 최종 확정된 인상률에 따라 보험료를 공지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표준화 실손보험 가입자는 최고 20% 초반대, 신 실손보험 가입자들은 최고 10% 초반대 인상률이 적용될 수 있다는 내용이 명시됐다.

손보사들이 보험료를 대폭 인상하는 이유는 높은 손해율로 인한 적자가 커지면서다.

보험연구원에 의하면 올 상반기 실손보험의 위험손해율은 131.7%로 1년 전보다 2.6%포인트 증가했다. 지난해 손해율은 134%로 2016년(131.6%)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위험손해율이란 발생손해액을 위험보험료로 나눈 수치로, 100%를 넘으면 가입자가 낸 돈보다 보험금을 타가는 돈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적자 규모는 2018년 1조2000억원에서 2019년 2조5000억원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올해는 상반기에만 1조3000억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손보사들이 보험료 인상 안내문을 발송했지만, 보험료 인상 폭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금융당국의 비공식적인 승인 절차가 남았기 때문이다.

실손보험은 약 3800만명의 많은 가입자가 몰려 있어 가격 민감도가 높은 만큼, 대체로 금융당국이 보험료 조정에 개입한다. 보험료 인하 및 동결은 관여하지 않지만 높은 수준의 보험료 인상에는 대부분 관여하고 있다.

이에 보험업계의 불만도 적지 않다. 현재 위험손해율을 감안하면 30% 이상의 보험료 조정이 필요하지만, 당국의 개입이 예상되는 데다 인상 폭 제한이 예상되면서다.

실제 지난해에는 보험업계가 실손보험료 두 자릿수 인상을 주장했으나, 금융당국의 압박에 의해 9% 인상에 그쳤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위험손해율이 100%를 돌파한 지 오래”라며 “그간의 적자를 보험사가 고스란히 떠안았고 적자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어, 금융당국은 4세대 실손보험 출시 외에 직접적인 손해율 안정 방안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