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보험연구원)
(자료=보험연구원)

<대한데일리=임성민 기자> 국내 보험회사 경영자들의 보상체계가 해외 주요국가와 비교해 미흡해 성과보수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보험연구원 한상용 연구위원은 16일 ‘보험회사 경영자에 대한 보상체계 연구’ 보고서를 통해 “국내 보험사의 경영자 보상체계는 해외 주요 국가들과 비교할 때 보상과 성과 간의 연계성이 낮은 모습”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보험회사의 경영자 급여에서 고정보수의 비중이 성과보수에 비해 높았다.

한국과 미국 보험회사의 경영자 보상체계를 비교한 결과 한국은 기본급 비중이 64%로 가장 높았고, 단기성과급 19%, 장기성과급 17% 순이었다.

반면 미국은 장기성과급이 73%로 가장 높았고, 기본금 16%, 단기성과급 5%, 기타 6%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영국 등 해외 국가들은 주식기반의 성과보상을 적절히 활용해 경영자에게 중장기 실적 향상을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연구위원은 “보상체계에서 성과보수 비중의 증가는 수익성과 장기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성과보수에서 이연지급 비중의 증가는 보험사의 장기수익성과 기업가치 제고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고경영자의 장기재임 기회가 늘어날수록 수익성과 기업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한 연구위원은 국내 보험회사 경영자들이 중장기적 관점에서 손익 중심의 가치경영 활동을 하도록 이끌기 위해 경영자 보상에서 성과보수의 비중을 증가시켜 보수와 성과 간의 밀접한 상관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성과보수에서 스톡옵션, 양도제한조건부 주식 등 주식보상의 비중을 늘려 경영자들이 중장기적 관점에서 기업 가치 향상을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 경영자의 단기적 실적 추구나 과도한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 성과보수에서 이연지급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연구위원은 “경영자 보상체계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 보험사 최고경영자의 장기적 재임기회를 증가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