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데일리=염희선 기자> 국내 증권회사가 해외 부동산 등에 대체투자한 규모가 48조원에 달했다. 이 중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는 자산은 15.7%였다. 

금융감독원이 4일 발표한 '증권사의 해외 대체투자 현황 및 향후 대응방안'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 22곳의 해외 대체투자 규모는 48조원(864건)을 기록했다. 부동산이 23조1000억원(418건), 특별자산은 24조9000억원이었다. 이중 31조4000억원은 투자자에 재매각했으며, 16조6000억원은 직접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투자규모는 2016년 2조1000억원, 2018년 12조4000억원, 2019년 24조5000억원으로 증가했지만 지난해 4월 기준 3조7000억원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들어 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정체된 것이다. 

투자지역은 미국 17조7000억원(37%), 영국 5조2000억원(11%), 프랑스 4조2000억원(9%) 등 선진국 위주로 구성됐다.

투자대상을 보면 부동산의 경우 오피스가 12조2000억원(53%), 호텔·콘도 4조5000억원(19%) 등에, 특별자산은 발전소 10조1000억원(41%), 항만·철도(4조3000억원(17%) 등에 주로 투자됐다.

해외 대체투자의 평균 만기는 6.8년으로 2017년부터 본격적인 투자가 이뤄지면서 2022년 이후 만기 도래 건이 대부분(86.5%)을 차지했다. 

또한 증권사가 재매각 목적으로 투자했지만, 재매각하지 못한 상태로 6개월을 초과해 보유하는 투자건은 3조6000억원이었다. 

증권사 자체적으로 부실·요주의로 분류한 건은 7조5000억원(해외 부동산 4조원, 해외 특별자산 3조5000억원)이며, 이는 전체 투자규모의 15.7% 수준이다. 

증권사 직접 보유분(16조6000억원) 중 부실·요주의 분류 규모는 2조7000억원(16.0%)이며, 투자자 대상 재매각분(31조4000억원) 중에서는 4조8000억원(15.5%)이다. 

특히 재매각분(4조8000억원) 중 역외펀드를 기초자산으로 발행된 DLS의 부실·요주의 규모가 2조3000억원에 달했다. 

금감원은 "해외 대채자산 투자 점검 결과 현지실사 보고체계 미흡, 역외펀드 기초 DLS 발행 시 위험검증절차 미비 등 일부 업무벌차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해당 증권사에 해외 대체투자 관련 업무절차 개선 필요사항에 대한 조속한 보완과 모니터링 체계 강화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 시 추가 투자손실이 우려되는 가운데 부실 발생 규모에 대한 주기적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며, 점검 과정에서 리스크관리상 중요 취약점이 드러나거나 투자자보호 관련 위법 개연성이 높다고 판단될 경우 현장검사로 전환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