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데일리=임성민 기자> 최근 안전자산을 선호하고 달러 수요가 증가하면서 외화보험 누적 판매량이 3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외화보험이 급성장하면서 소비자와 보험사에 유용할 수 있도록 정책대응을 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보험연구원 변혜원 연구위원과 정인영 연구원은 지난 31일 ‘해외 외화보험시장 성장 및 정책대응과 국내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외화보험은 보험료 납입과 보험금 해지환급금 지급 등이 외화로 이뤄지는 보험이다. 외화종신보험, 외화연금보험으로 구분되며, 과거 외국계 보험사들이 주로 판매했지만 최근에는 국내 보험사들도 출시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까지 생명보험회사의 외화보험 누적 판매량은 3조2000억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2017~2019년)사이 연평균 73.2% 성장한 수치다.

변 연구위원은 “외화보험 상품은 수익률 개선을 요구하는 소비자 수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시장 포화상태에서 신규수요 창출에 어려움을 겪던 보험회사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잡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문제점도 존재한다. 외화로 납입한 보험료를 해외채권 중심으로 운용한 후 만기 시 자국 통화로 환전해 보험금을 받는 상품인데, 만기 시 환율 변화에 따라 환차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변 연구위원은 “일본과 대만에서는 판매과정 중 소비자 보호 측면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감독당국의 규제 개선 및 업계의 자율적인 보안장치가 마련돼 왔다”고 말했다.

해외 사례를 보면 일본에서는 ▲70세 이상 고령자 민원 ▲환율변동에 따른 원금손실 위험 인지 부족 ▲수익률 산출 기준 인지 부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됐다.

일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령계약자 보호조치 ▲판매자격 관리 ▲가입절차 개선 ▲수수료체계 검토 ▲공시제도 개선 등의 조치를 시행했다.

대만의 경우 외화보험 가입자 보호를 위해 ▲모집자격 ▲모집절차 ▲고객적합성 평가 ▲사후관리 등이 포함된 ‘전통형 외화보험’ 자율운영규정을 제정했다.

변 연구위원은 “외화보험이 소비자와 보험회사 모두에게 유용한 보험상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해외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정책대응을 참고해 국내 상황에 적합한 조치를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