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데일리=임성민 기자> 금융당국이 보험사의 헬스케어 서비스 진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보험사의 신시장 창출과 소비자의 의료비 지출 효율화를 위해서다. 보험업계 숙원 사업인 헬스케어 서비스 활성화가 기대되는 가운데, 의료계의 반발도 만만치 않아 향후 금융당국과 보건복지부의 협의에 업계 이목이 쏠린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날 관계부처와 헬스케어업계, 보험업계 등과 함께 ‘보험업권 헬스케어 활성화 TF’ 1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의 핵심 안건은 건강·금융 데이터 융합과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 활용 등이다.

건강 데이터와 금융 데이터를 활용해 고령·유병자 전용 보험상품을 개발하고, 건강나이 기반의 보험상품 개발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 현행 보험사고 위험률 감소, 보험계약자 건강 증진 등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제공할 수 있는 기가 가액(현행 10만원)의 상향 여부도 검토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서울대 건강금융연구센터와 삼정 KPMG가 주제 발표를 통해 보험사의 헬스케어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지원하기도 했다.

홍석철 서울대 건강금융연구센터 교수는 “보험업계는 내·외부적 환경변화로 새로운 위기에 직면해 있어, 전략적으로 개인화, 고객관리, 융합이라는 3가지 방향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세호 삼정 KPMG 상무는 “헬스케어 산업은 대표적 융합산업인 만큼 다양한 서비스들이 끊임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정부의 규제개선, 제도적 지원 등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헬스케어 서비스란 고객이 건강을 직접 관리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돕는 서비스를 말한다. 보험에 접목하면 전용 보험상품 가입을 통해 보험사에서 직접적으로 건강관리를 도와줌으로써 질병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갈수록 새로운 질병 발생 위험이 커지는 가운데, 헬스케어 활성화는 보험사에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기회가 되는 셈이다.

이에 보험업계는 정체된 시장에서 새로운 수익을 위해 헬스케어 서비스 활성화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한 의료 데이터 정보 제공 주체인 의료계의 반발과 정보의 활용 범위가 구체적이지 않다는 점이 제도 추진에 힘을 싣지 못하고 있다.

의료계는 헬스케어 활성화 시 의료행위와 구분이 모호해져 향후 분쟁 가능성을 우려를 표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지만, 여전히 의료법과 충돌 가능성이 있다는 점 때문이다.

금융당국이 복지부와 협의체를 구성해 보험사의 헬스케어 활성화를 지원하고 나섰지만, 의료계의 반발이 지속되는 한 제도 정착은 더딜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금융당국이 헬스케어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내놓으면서 기대감이 커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의료계의 반대를 쉽게 저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의료계가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도 거부하고 있는 가운데, 사안이 더 큰 헬스케어에 긍정적인 입장을 내놓을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