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보험연구원)
(자료=보험연구원)

<대한데일리=임성민 기자> 최근 보험업계에 디지털 혁신이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보험사들이 독립적인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외부 기술에 의존하기 보다 자체 기술을 가져야 장기 사업모델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보험연구원 김규동 연구위원, 김윤진 연구원은 지난 14일 ‘보험산업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험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정보통신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과 플랫폼 구축활용을 통해 기존 전통적인 사업모델과 서비스를 혁신하는 것으로, 효율성 향상 이상의 의미가 있다.

이에 보험사들은 최근 디지털 전환을 준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 혁신은 주체에 따라 ▲유지 지속형 혁신 ▲파괴형 혁신 ▲지원형 혁신 등으로 구분된다.

유지 지속형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혁신이다. 건강증진형 보험상품, 안전운전 할인 특약 등 기술을 적용한 소비자 중심의 상품 및 서비스 개발이 해당한다.

파괴형은 새로운 시장 진입자가 틈새시장 공략에서 출발해 전체 시장을 공략하고, 기존 보험사를 위협하는 것을 말한다. 레모네이드, 메트로마일, 보맵, 토스 등이 혁신적인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으로 시장에 진입하는 것 등이 해당한다.

지원형은 기존 사업자의 사업모델을 현대화하고 혁신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발전시키고 보험산업을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인공지능, 웨어러블기기 등 신기술 개발을 통해 보험산업을 지원하는 혁신이 해당한다.

김 연구위원은 “보험산업은 보험위험 인수와 보험금 지급이 소비자와 접점을 이루는 업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업무는 보험사만이 영위할 수 있는 본질적 업무이기 때문에 보험회사가 아닌 금융플랫폼이 보험회사의 협업 없이 보험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방안은 매우 제한적”이라며 “이로 인해 보험사는 신규 진입자와 시장 변화로 인한 위기의식이 크지 않았으며, 디지털 전환을 위한 투자에 소극적이었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보험사의 디지털 전환은 긍정적인 요인이 많은 반면, 보험가치사슬의 분절화를 심화시킬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 연구위원은 “외부 기술회사들의 기술적 우위와 플랫폼 경쟁의 성장으로 인해, 보험사는 외부 기술 의존도와 외부 플랫폼과 결합된 형태의 보험상품 및 서비스 제공 가능성이 증가하는데, 이는 보험가치사슬의 분절화를 심화시킬 것”이라며 “기술과 데이터의 외부 의존도 증가와 보험가치사슬의 분절화는 보험사의 일관된 장기 경영전략 수립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자체 기술 개발 및 스타트업 투자 확대를 통해 독립적인 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금융당국은 과거 전통적인 보험상품과 판매채널에 적합한 보험규제를 과감히 개선하고, 디지털 시대에 맞는 새로운 규제를 마련해야 한다”며 “보험산업의 인공지능(AI) 적용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규제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