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데일리=정민혁 기자> 금융당국이 금융권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측정해 오는 8월 공개한다. 최악에 가까운 취업난 속에 금융권의 채용을 독려하겠다는 취지지만, 민간 금융회사의 일자리를 금융당국이 나서서 관리하는 것은 오히려 금융산업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6일 ‘금융권 일자리 창출효과 측정 계획’을 통해 금융감독원·금융연구원·노동연구원과 공동으로 시중은행 및 지방은행의 일자리 창출 기여도를 분석하고 오는 8월 중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측정 대상은 국민, 신한, 우리, KEB하나, 농협, 수협, SC, 씨티 등 8개 시중은행과 대구, 부산, 경남, 광주, 전북, 제주 등 6개 지방은행이다. 

측정 시기는 2018년이며 2007년 이후 금융권 일자리 창출의 추세적 흐름을 함께 분석할 계획이다. 

측정 항목은 자체 일자리 기여도와 간접적 일자리 창출 기여도다. 

자체 일자리 기여도에서는 금융회사가 직접 고용하거나 아웃소싱을 통해 창출하는 일자리를 측정한다. 이와 함께 노동시장에서 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청년·여성·비정규직 채용 비율도 함께 측정한다. 

간접적 일자리 창출 기여도는 은행이 각 산업에 지원한 자금규모와 고용유발계수를 활용해 측정한다. 이 밖에 고용부, 지자체 인증을 받은 고용우수기업, 창업기업, 자영업자에 지원한 자금을 통해 일자치 창출 기여도를 측정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올해 측정에 기반해 내년 이후 다른 금융업권까지 측정을 확대할 예정이며 측정지표나 방식을 매년 보완할 계획”이라며 “중·장기로는 일자리 창출과 관련한 금융권 역할강화를 위한 정책지원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은행권은 금융당국의 일자리 창출 중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면서도 일종의 고용 성적표를 공개하는 것은 상당한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최근 은행들은 인터넷 및 모바일 등 비대면채널 사용이 급증하면서 영업점을 줄이고, 대규모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등 규모를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핀테크 기술이 활용되고, 영업 환경이 변화하면서 은행에 필요한 직원의 수도 갈 수록 감소하는 추세“라며 “은행이 직접 판단하고 채용을 늘리거나 줄여야지, 금융당국이 나서 간접적으로 고용을 압박하면 금융산업 경쟁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대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